본문 바로가기
교육정보

초등 6학년 1학기 - 수학 5단원, 6단원 공부 방법 중요 포인트

by ehownews 2024. 1. 14.
반응형

5단원 여러 가지 그래프

4학년 1학기 5단원 막대그래프4학년 2학기 5단원 꺾은선그래프를 배웠습니다.

그리고 6학년 1학기 5단원에서 여러 가지 그래프를 다시 만납니다.

직전 4단원에서 비와 비율을 배우고 나서 백분율 %퍼센트를 그래프에 나타내기 위해

여러 가지 그래프를 배웁니다.

그림그래프, 띠그래프, 원그래프까지 이렇게 그래프를 배우고 나면 총 5개의 그래프를 알고

중학교에 입학하게 됩니다.

 

여러 가지 그래프의 특징과 나타내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그림그래프 | 띠그래프 | 원그래프

1) 그림그래프.

그림그래프는 그림의 크기로 나타냅니다. 그래서 그림을 보면 수량의 많고 적음을 한 눈에 알 수 있습니다.

지역별 초등학생 수를 그림그래프로 나타낸다고 하면

1000명은 큰 얼굴 그림으로, 100명은 작은 얼굴 그림으로 정하여 그립니다.

 

2) 띠그래프.

띠그래프는 전체에 대한 각 부분의 비율을 띠 모양에 나타낸 그래프 입니다.

백분율을 제대로 구할 줄 알아야하고 전체 비율의 합계가 무조건 100%가 나와야 합니다.

띠그래프로 나타내면 전체에 대한 각 부분의 비율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띠그래프로 나타낼 때에는 띠에 빈 공간이 없도록 띠를 나누어야 합니다.

 

 3) 원그래프.

원그래프는 전체에 대한 각 부분의 비율을 원 모양에 나타낸 그래프입니다.

띠그래프와의 공통점은 전체에 대한 각 부분의 비율을 알기 쉽다는 것입니다.

차이점이 있다면 띠그래프는 띠를 100등분하여 띠 모양으로 그린 것이고,

원그래프는 원의 중심을 따라 각을 100등분하여 원 모양으로 그린 것입니다.

 

원그래프로 나타낼 때 백분율이 낮은 항목은 원그래프 안에 항목의 내용과 백분율을 함께 쓸 공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화살표를 사용하여 그래프 밖에 나타냅니다.

 

원그래프와 띠그래프 그리는 방법은 비슷합니다.

첫째, 자료를 보고 각 항목의 백분율을 구합니다.

둘째, 각 항목의 백분율의 합계가 100%가 되는지 확인합니다.

셋째, 각 항목이 차지하는 백분율의 크기만큼 선을 그어 나눕니다.

넷째, 나눈 부분에 각 항목의 내용과 백분율을 씁니다.

다섯째, 제목을 씁니다.


6단원 직육면체의 부피와 겉넓이

부피란 어떤 물건이 공간에서 차지하는 크기를 말합니다.

그런데 이 부피를 이해하는 것이 학생들에게는 참 어렵습니다.

부피의 개념을 알면 계산공식이 어떻게 나오는지도 알게되고 겉넓이와 차이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부피 확인하기.

1) 직접 맞대어 비교하기.

직육면체의 부피를 직접 맞대어 비교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가로와 세로 길이가 각각 같은 직육면체의 높이가 다를 때

높이가 더 높은 직육면체의 부피가 더 큽니다.

이렇게 직접 맞대어 부피를 비교하려면 직육면체의 가로, 세로, 높이 중 두 종류 이상의 길이가 같아야 합니다.

 

2) 쌓기나무를 사용하여 비교하기.

똑같은 크기의 쌓기나무를 사용하여 부피를 비교하는 방법입니다.

가의 쌓기나무 수는 8개이고 나의 쌓기나무 수는 12개라면 나의 부피가 더 큽니다.

공간에서 차지하는 크기가 더 크기 때문에 부피가 크다고 말 할 수 있습니다.

 

3) 계산을 이용하여 비교하기.

부피의 단위를 이용하여 계산을 통해 부피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한 모서리의 길이가 1cm인 정육면체의 부피를 1세제곱센티미터라고 합니다.

공식으로 나타내면 가로×세로×높이 입니다. 센티미터를 세 번 곱했다고 해서 세제곱센티미터입니다.

한모서리의 길이가 1m인 정육면체의 부피는 1세제곱미터입니다.

위에서 말한 내용과 동일하고, 길이만 다릅니다.

미터를 세 번 곱했기 때문에 세제곱미터라고 읽습니다.

 

여기까지는 쉽습니다. 다음으로 세제곱미터와 세제곱센티미터의 관계를 제대로 설명할 수 있어야

6학년1학기 6단원 직육면체의 부피를 제대로 공부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1m = 100cm 입니다. 이것은 길이 단위입니다.

그럼 1세제곱미터 = 100세제곱센티미터 일까요? 아닙니다.

세제곱미터와 세제곱센티미터는 부피 단위이기때문에 길이 단위와 똑같이 쓰면 틀립니다.

1세제곱미터 = 1m×1m×1m = 100cm × 100cm × 100cm 입니다.

따라서 1세제곱미터는 = 1000000세제곱센티미터가 맞는 것입니다.

 

직육면체의 부피를 공부할 때 위의 내용이 가장 중요합니다.


2. 직육면체의 겉넓이

겉넓이는 물체 겉면의 넓이를 말합니다. 그래서 사실 굉장히 쉽습니다.

평면도형의 넓이를 4학년 때 제대로 배웠다면 더하기만 잘하면 되는 단원입니다.

직육면체는 6개의 직사각형 모양 면으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이 6개의 직사각형 넓이를 각각 구해서 모두 더하면 됩니다.

그래서 상대적으로 정육면체 겉넓이는 더 구하기 쉽습니다.

6개의 면이 똑같은 정사각형이기 때문에 정사각형 넓이 1개만 구한 후 곱하기 6을 하면 정육면체의 겉넓이가 구해집니다.

 

직육면체는 각각 두개씩 합동인 면 3쌍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서로 다른 세 면의 넓이의 합 × 2 를 통하여 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전개도를 만들어 펼쳐서 넓이를 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한 밑면의 넓이 × 2를 한 다음 옆면을 하나의 직사각형으로 보고 한 번에 넓이를 구하여 더합니다.

 

겉넓이는 이름 그대로 겉에있는 면들의 합이기 때문에

이 개념만 기억하고 이해한다면 계산 방법은 스스로 여러가지 생각하며 풀 수 있어서 쉽습니다.

반응형